
5월 31일 삼성전자가 피트니스 관리에 가장 적합한 스포츠 밴드 갤럭시 핏과 갤럭시 핏을 선보였다. 실제로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스마트워치 시장에 대한 전망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스마트워치의 대중화로 기존 손목시계 시장은 전망이 어두워질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지금은 어떤가. 스마트워치 판매량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그 감소 후 남는 것이라도 절반은 애플이 가져간다. 이처럼 스마트워치 시장은 애플과 삼성 이외의 기업에는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은 시장이 돼 버렸다. 신제품 발표만 봐도 알 수 있다. 최근 발표되는 상품 수가 급격히 줄었다. 스마트폰이 확산되면서 시장에서 주목받던 업체들도 모습을 감췄다. ‘킥스타터 신화’를 쓴 페블은 2016년 핏핏에 인수됐고, 지금은 핏핏 판매량도 급감 중이다. 아사모토도 2017년 시장을 떠났고 모토360으로 히트한 모토로라도 잠잠하다. 많은 기업이 철퇴하고 있다.
원인은 무엇일까. 조사에 따르면 가격과 낮은 만족도가 우선된다. 즉, 스마트워치라는 제품이 소비자에게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다는 얘기다. 사실 필자도 애플워치를 착용 중이지만 이것이 꼭 필요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주로 스마트폰과 연동돼 보조 도구로 활용된다. 손목에 밀착돼 있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항상 수집할 수 있고 진동으로 촉각 통지를 보낼 수도 있다. 하지만 이게 그만한 가치가 될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또 손목에 착용해야 하는 초소형 기기여서 하드웨어적인 한계가 많다. 대표적인 것이 배터리로 CPU와 메모리 등 아직도 넘어야 할 산이 있다. 타고난 조작적 한계 때문에 스마트워치의 사용성이 스마트폰보다 나아질 것이라는 점을 기대하기 어렵다. 스마트워치는 스마트폰 없이는 제대로 사용할 수 없다는 뜻이다.
소비자들이 스마트워치를 구입하지 않는 첫 번째 이유의 가격이다. 필자는 그동안 스마트워치와 스마트밴드라는 두 단어를 무차별로 사용해 왔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전자는 보여주고 알려준다는 느낌이 강하고 후자는 측정 느낌이 강하다. 일반적으로 스마트워치보다 디스플레이 기능이 단순해 배터리 소모를 줄인 기기를 스마트밴드라고 한다. 만보계와 심박계 등을 탑재해 이용자의 건강정보를 수집하는 역할뿐 아니라 통화나 메시지 알림을 제공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기존 스마트워치보다 저렴한 편이다. 스마트밴드의 돌풍인 샤오미 밴드는 최대 한 달 정도 사용할 수 있다. 가격도 매우 저렴하다. 이미 애플, 삼성을 제치고 스마트밴드 가운데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많은 소비자들이 원하는 가격대는 현재 스마트워치 시장에 형성된 가격대가 아님을 의미한다. 실제로 미국 밴드가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에 몰고 온 충격은 대단했다.
몽블랑, 태그호이어 등 기존 유명 손목시계 업체들은 기존 액세서리 기능을 유지한 채 최소한의 스마트폰과의 연동 기능을 넣었다. 가격은 역시 고가의 제품 그대로다. 오히려 이것이 상당한 수요를 끌어내고 있다. 기존 스마트워치 제품은 스마트기기로서도 액세서리로서도 기존 시장을 잠식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스마트워치는 스마트밴드와 스마트 기능을 탑재한 기존 명품시계 시장에 파이를 빼앗기게 될 것이다. 스마트워치에 드라마틱한 변화가 없다면 말이다. 삼성전자가 야심 차게 준비한 새로운 스마트 밴드 갤럭시 핏이 세계 시장에서 선전하기를 응원한다.








